본문 바로가기

세번째 저서 계획

by 不岳 2012. 11. 21.

제목 : 향가의 유산과 고려시가의 단서

 

 

 

 

각 chapter 앞에 들머리글을 적어둔다.

 

 

 

1부에서 향가사, 율격론, 제재론, 전승론, 예술사와의 관계

 

2부에서 보현시원가와 선시로부터 향가·게송과 종교시 일반의 관계, 그리고 향가와 속요

 

3부에서 외국시와의 비교, 후대 문학과의 비교, 향가와의 비교 등 탐색

 

 

 

등과 관련한 종전의 논문을 요약 소개하며, 앞으로의 전망을 간략히 언급한다.

 

 

 

 

 

1부 향가의 유산

 

 

 

[향가사] 향가와 신라문화사, 고가연구총서1, 보고사, 2009.

 

[율격론] 향가의 분절과 음보율의 양상을 통해 본 율격의 관습, JKC17, 2011.

 

[제재론] 향가의 제재로서 화랑 형상의 문학사적 의미, 한국시가연구29, 2010.

 

[전승론] 사서의 평어를 통해 본 향가 소통과 전승의 양상, 국제어문55, 2012.

 

[예술사] 향가의 서정주체와 불국사·석굴암의 조성 방식, 우리말글53, 2011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2부 향가와 종교시, 그리고 속요

 

 

 

[향가와 선시1] <보현시원가>와 선시를 통해 본 종교시의 서정성 문제, 고전문학연구37, 2010.

 

[향가와 선시2] 고려 불교시에서의 소통·수용 문제와 종교시사의 단서, 한국시가연구31, 2011.

 

[향가와 속요] 향가와 속요의 추상적 심상과 그 시적 성취에 관한 재론, 비평문학42, 2011.

 

 

 

 

 

3부 속요 연구의 단서

 

 

 

[해외문학] 주제론을 중심으로 한 속요와 『만엽집』 비교 시론, 고시가연구27, 2011.

 

[후대문학] 떠난 사랑이 돌아오면 행복할까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 –  속요의 그리움미련을 통해 본 고전시가의 행복론, 고전과해석10, 2011.

 

[이중전통] <청산별곡>의 구성 방식과 향가와 속요의 전통, 비평문학38, 2010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