길15 불교방송 라디오 '무명을 밝히고' 출연(1.22~2.12, 총 4회) 유난스럽지만 첫 방송 출연이기도 하고, 책을 직접 읽는 것과는 다른 의미도 이런 방송에 있겠다 싶어 공유한다. 저자와의 대화 - 한국 불교시의 기원 - 새 창에서 'BBS 라디오 다시 듣기' 클릭 1회(1.22): 의상의 법성게 BBS불교방송 (bbsi.co.kr) 2회(1.29): 명효와 원효 BBS불교방송 (bbsi.co.kr) 3회(2.5): 향가 BBS불교방송 (bbsi.co.kr) 4회(2.12): 균여 BBS불교방송 (bbsi.co.kr) 2024. 2. 15. 저자 인터뷰(교수신문-2023.9.4, 대학지성-2023.9.10) 내가 이런 책을 썼던가 싶을 만큼, 과분하게 잘 써 주었다. ‘의상·원효’로 문학사와 종교사상사를 종합하다 - 교수신문 [저자 인터뷰_『한국 불교시의 기원』] 서철원 서울대 교수는 “원효는 참회를 통해 서방정토에 이른다는 실천의 성과를 깊이 파고들었다”라며 “의상은 하나하나의 개체를 한결같이 평등하 www.kyosu.net 이건 직접 쓴 글 의상과 원효, 향가를 만나 한국 서정시의 새벽을 열다 - 대학지성 In&Out ■ 나의 테제_ 『한국 불교시의 기원: 의상과 원효 그리고 균여』 (서철원 지음, 에피스테메, 368쪽, 2023.07) 1) 향가 연구의 아쉬움고전시가는 명칭이 ‘시가’라서, 현대시와 달리 노래이면서 시 www.unipress.co.kr 2023. 9. 6. 여섯째 저서 - 박사 논문에서 빠졌던 불교시들 2006년의 박사논문에 들어갔어야 할 작품들이었는데... 이제야 채워 진짜 박사가 되었구나. 그 시절부터 원했던 '향가-삼국유사-불교시'의 삼각 편대를 겨우 세웠다. 합체하면 문학사가 될 텐데, 그럴 기회가 올지 모르겠다. ---------- 출판사 소개 https://weekly.knou.ac.kr/articles/view.do?artcUn=4053 KNOU위클리 -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『삼국유사 속 시공과 세상』, 『향가의 유산과 고려시가의 단서』의 저자이자 고전과 현재가 무리 없이 소통할 방법을 찾고 있는 서철원 서울대 교수(국어국문학과)의 신간인 이 책은 제목 그 weekly.knou.ac.kr 제목: 한국 불교시의 기원 – 의상과 원효 그리고 균여 2023.7.31, 에피스테메(방송대 출.. 2023. 8. 5. 첫 번역서 - 삼국유사 이렇게까지 몇 년을 길게 끌 책은 아니었지만... 막상 나오니 뿌듯함과 아쉬움, 안심과 후회가 묘하게 뒤섞인다. 주석 하나 없이 본문에 다 녹이겠다는 의도가 무모했지만, 그래도 딱 그것 하나만은 잘한 것 같다. 2022. 11. 17. 다섯째 저서 - 고전시가 교재 겸 교양서 고전시가 수업, 지식의날개(2022년 3월15일 발간) '고전시가강독' 수업 내용을 존댓말 구어체로 된 300면 내외의 책으로 압축하였다. 앞으로 해당 수업은 이 책을 교재로 쓸 계획이고, (그럴 리는 없지만) 혹시 반응이 괜찮으면 이런 체제의 문학사도 내보고 싶다. 출간처인 방송대출판문화원의 후배가 편집과 교정을 많이 도와주었다. 1. 고전시가를 읽기 전에 - 장르, 율격, 전개 2. 신화와 서정의 실마리, 고대가요 1) 신화적 배경과 의 주술 2) 소박한 서정과 의 역사 3) 잊힌 노래들의 실마리 - 고려사·악지·삼국속악 3. 이야기 속 주인공의 역할과 향가 1) 와 선화공주의 역할 2) 와 처용의 역할 4. 소중한 사람들을 바라보는 향가 1) 에 나타난 그리움 2) 가 흘러간 마음의 끝 3) 로 벗.. 2022. 3. 1. 넷째 저서 - 삼국유사에 관하여 삼국유사 속 시공과 세상, 지식과교양(2022년 2월 4일 발간) 시간과 현장, 체험이라는 주제어를 통해 첫째, 우리 시대에서 『삼국유사』의 시대로 넘어가기, 둘째 『삼국유사』의 현장과 동아시아 및 우리 공간과의 관계, 셋째 『삼국유사』 속 체험을 공유하고 공감하려면 필요한 전제 등을 구상해 보았다. 이 과정에서 그 시대의 현장에서 사람들을 만나 그들의 사상과 감정을 공유하고 공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. 0. 삼국유사와 이 책의 구성 I. 삼국유사의 시간 속 만남 사라진 건국 신화 속 여신들과의 만남 한 왕국 속 서로 다른 시조들과의 만남 고유 사상과 동아시아 여러 사상의 만남 II. 삼국유사의 현장 속 사람들 바다 저편을 오고 가며 소통한 사람들 다른 세상에 속한 존재들을 사랑한 동아시아 사람들 번.. 2022. 1. 1. 이전 1 2 3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