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15

전임되던 첫해 수업 영상 잘한 것도, 잘난 것도 없지만,아직은 과거로 추억할 만큼 먼 옛날도 아니지만,그저 이런 시절 있었던 것을 가끔 돌이켜보려고 올린다. - 마산에서 처음 맞은 어린이날 하루 전 봄날, 앞으로 강의 잘하라고 이런 모습으로 평가를 받았다. 2013. 12. 28.
세번째 저서 계획 제목 : 향가의 유산과 고려시가의 단서 각 chapter 앞에 들머리글을 적어둔다. 1부에서 향가사, 율격론, 제재론, 전승론, 예술사와의 관계 2부에서 보현시원가와 선시로부터 향가·게송과 종교시 일반의 관계, 그리고 향가와 속요 3부에서 외국시와의 비교, 후대 문학과의 비교, 향가와의 비교 등 탐색 등과 관련한 종전의 논문을 요약 소개하며, 앞으로의 전망을 간략히 언급한다. 1부 향가의 유산 [향가사] 향가와 신라문화사, 고가연구총서1, 보고사, 2009. [율격론] 향가의 분절과 음보율의 양상을 통해 본 율격의 관습, JKC17, 2011. [제재론] 향가의 제재로서 화랑 형상의 문학사적 의미, 한국시가연구29, 2010. [전승론] 사서의 평어를 통해 본 향가 소통과 전승의 양상, 국제어문55, 2.. 2012. 11. 21.
백제문화권과 향가의 진실 그리고 사실 나는 백제문화권에서 나고 자랐는데... 옛 가야 땅에 자리잡게 되었다. 딱히 얄궃은 운수라 생각하는 건 아니지만, 앞으로 어떤 가르침이 내 생에 새겨질지 기대 반 근심 반이다. 신채호의 로부터 출발한 내게 신라 향가를 전공해야 한다는 건 어쩌면 몹시 싫은 일이었을 수도 있다. 그러나 그럼에도 향가를 전공"할 수 있었던 것은" 그것이 백제로부터 충동을 받아 이루어졌다는 느낌 탓일까? (드디어 블로그에 향가 이야기가 나오는구나.) 백제 성왕은 전륜성왕과 미륵불을 결합시킨 이미지, 상징을 만들고 싶어했다. 그 흔적이 한 세대 뒤의 무왕을 통해 익산 미륵사지와 후기신라 백제문화권의 서동설화에 다소나마 남아있다. 백제 건국 이야기는 전혀 싱화적이지 못한데, 오히려 멸망에 가까운 시점이 신화적으로 표현된다. 백제의.. 2010. 7. 24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