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연구

2013.9~2017.8 서울대 국어국문학과_1

by 不岳 2016. 12. 23.

[2013년]


47_2013.12 ··일 고대설화에 나타난 이류 교유와 애욕의 의미(진단학보119)

  

진단학보119수정1-서철원.hwp


   - 20121124일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이 개최한

     ‘동아시아한문학, 공동성과 고유성 - 동아시아고전학의 가능성과 난관학술대회

     발표 원고를 수정, 보완한 것.



[2014년]


48_2014.11 향가 그리고 『삼국유사』를 통해 본 신라인의 내세 관념(한국시가연구37)


한국시가연구37(1차)-서철원.hwp


   - 2014년 3월 22일 제71차 한국시가학회 발표문의 개고.



49_2014.11 향가와 속요의 사이 - 시행 구성과 어조, 정서를 중심으로(국문학연구30)


02_서철원_최종(저자교정_141201).hwp


   - 2014년 8월 19일 국문학회, 서울시립대 도시인문학연구소 학술대회

     공동학술대회 발표문 수정, 보완.



50_2014.12 설화 속 원효 형상에 대한 이중적 시선의 의미(고전문학연구46)


03-서철원46-1-교정.hwp


    - 2014년 6월 서울대 국문과 교수발표회 발표문의 일부(?).




[2015년]

 

51_2015.08 종교적 언어관과 향가 문면의 상호작용에 대한 성찰

                -佛典 계통의 시어 활용 양상을 중심으로-(구결연구35)

 

구결연구45-서철원(150823수정).hwp

 

   - 2015년 2월 11일 구결학회 월례발표회 발표문 개고.

 

 

52_2015.12 최치원의 풍류 관념과 그 문화사적 맥락(한국고전연구32)

 

고전연구학회 수정(151215)_서철원.hwp

 

   - 2015년 5월 9일 한국고전연구학회 발표문 개고.



53_2015.12 최남선의 시가 인식과 불함문화론의 관련 양상(고전문학연구48)

 

고전문학연구48-9서철원-1수정.hwp

 

   - 2015년 10월 28일 한국고전문학회 발표문 개고.

 

 

이 해엔 두 차례 눈 수술을 했는데, 보이던 것들이 흐릿해진 대신

못 보고 살던 일들이 보이게 되었다.

논문이 다 신통치 않은데, 갈피를 못 잡았던 것 같다.


이 해에는 공저가 3건 있는데, 2건은 예전에 발표하고 논문으로 냈던 것들 재수록이고,

다음 1건만이 새로 쓴 것이다.


54_2015.06 고대가요, 향가(한국문학개론, 새문사)


새 한국문학개론 - 고대가요,향가-서철원(15.03.31).hwp



그리고 11월 13일 단국대(천안)에서 황패강 선생님을 기리는 글을 썼다.

2011년엔 윤영옥 선생님을 기리는 글도 쓴 적이 있었는데

다 외람된 일이지만 향가 공부하는 이들 중 막내의 책무라 생각하자.


황패강 교수의 시가문학_서철원.hwp




[2016년]


55_2016.09 서평: 안과 밖의 자료를 통해 넓어진 문학사와 그 새로운 주체

                - 김승호, 중세 불교인물의 해외 전승(한국불교학79)

 

김승호 선생님 서평.hwp

 

 

 

56_2016.11 처용가무의 전승 및 연행 과정에 나타난 오방처용의 성격(한국시가연구40)

 

한국시가연구40_1차_08.서철원선생님.hwp


    - 2016년 6월 18일 한국시가학회 발표문 개고

 


57_2016.12 원효의 게송 <대승육정참회>의 표현 방식과 문학적 해석의 가능성(한민족문화연구56)

 

한민족문화연구56 수정3-서철원.hwp


 

 

58_2016.12 <보현십원가>에 나타난 참회의 성격(동양고전연구56)


동65-04서철원.hwp

 

 

서평은 불교학계와의 인연의 싹이라 할지, 그동안 엉터리 불교문학 관계 글을 써 온 걸 참회해 본다.

내친 김에 '참회'라는 주제를 더 깊이 파 보려 한 것이 56과 57이다.

이 해 11월 19일 고전문학회 발표문이 첫 발걸음이 되었다.

그리고 1학기 고려가요 수업을 하고 그 덕분에 공부를 해서 처용에 대한 55를 썼다.

역시 내친 김에 내년 1학기 연구 학기 주제를 처용으로 잡았다.


 

[2017년-1]


이제 2017년 1학기는 전임된 이후 첫 연구 학기, 서울대 조교수 계약 마지막 학기이다.

격렬하게 아무 생각 없이 쉬면서 추진력을 얻어 보자.


... 고 적고 서울대와의 계약 첫 시즌을 끝내려고 했지만,

논문이 한 편 더 생기게 되었다.


59_2017.07 참회를 제재로 한 신라 문학과 불교의 관련 양상(보조사상48)


48-16 서철원_참회를 제재로 한 신라 문학과 불교의 관련 양상_최종수정1.hwp


4월 21일 보조사상연구원에서 '동아시아의 문학과 불교'라는 기획주제로 월례발표한 글을 기반으로 하였다.

더 거슬러가면 작년의 고전문학회 발표에 토대를 둔 것이었다.

그 발표 하나로 57~59의 3편을 만들어냈고, 아직도 더 쓸 것이 남았다.


그리고 이제는 때가 된 것인지, 불교 학계와의 인연이 싹트기 시작한 것 같다.

다음학기엔 대학원에서 불교문학 수업도 할 테니, 

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예고하는 것이었으면 더욱 좋겠다.



* 4년간 총 13건: 논문 11, 공저 1, 기타(서평) 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