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다섯째 저서 - 고전시가 교재 겸 교양서

by 不岳 2022. 3. 1.

고전시가 수업, 지식의날개(2022년 3월15일 발간)

'고전시가강독' 수업 내용을 존댓말 구어체로 된 300면 내외의 책으로 압축하였다.

앞으로 해당 수업은 이 책을 교재로 쓸 계획이고,

(그럴 리는 없지만) 혹시 반응이 괜찮으면 이런 체제의 문학사도 내보고 싶다.

출간처인 방송대출판문화원의 후배가 편집과 교정을 많이 도와주었다.

 

1. 고전시가를 읽기 전에 - 장르, 율격, 전개

 

2. 신화와 서정의 실마리, 고대가요

   1) 신화적 배경과 <구지가>의 주술

   2) 소박한 서정과 <황조가>의 역사

   3) 잊힌 노래들의 실마리 - 고려사·악지·삼국속악

 

3. 이야기 속 주인공의 역할과 향가

   1) <서동요>와 선화공주의 역할

   2) <처용가>와 처용의 역할

 

4. 소중한 사람들을 바라보는 향가

   1) <모죽지랑가>에 나타난 그리움

   2) <찬기파랑가>가 흘러간 마음의 끝

   3) <제망매가>로 벗어난 삶과 죽음

 

5. 민간에서 왕실까지, 속요의 현장

   1) 백제에서 온 여성화자의 <정읍사>

   2) 울고 웃는 가족의 일상, <사모곡> <상저가>

   3) 이리저리 흘러간 1년의 <동동>

   4) 어디서나 손목 잡힌다는 <쌍화점>

 

6. 그리움과 미련의 속요 화자

   1) 약한 듯 강인한 <가시리>의 그리움

   2) 강한 척 연약한 <서경별곡>의 미련

   3) 그리운 자연과 인간에의 미련, <청산별곡>

 

7. 자연과 인간 사이의 양반 시조

   1) 무심히 남은 미련, <어부단가>

   2) 자연도 임금님 은혜, <강호사시가>

   3) 멀수록 더욱 좋아, <어부사시사>

   4) 산과 물을 닮은 사람들, <도산십이곡>과 황진이

   5) 감정에 호소하는 정철의 교훈 시조

 

8. 기녀와 중인의 참여로 달라진 시조

   1) 양반의 권력을 마주한 여성화자, 기녀

   2) 양반과 닮은 듯 달랐던 예술가들, 중인

 

9. 사랑과 세태를 비튼 사설시조

   1) 애정과 애욕, 마음과 몸의 사랑

   2) 시집살이와 가족 갈등의 세태 풍자

 

10. 물아일체와 안빈낙도 사이의 전기가사

   1) 물아일체와 <면앙정가>의 사계절

   2) 안빈낙도와 <누항사>의 가난

 

11. 서사와 결합한 후기가사

   1) 악당들의 교훈적 일대기, <우부가>

   2) 변덕스러운 암행어사의 함경도 여행기, <북새곡>

 

12. 여성화자의 목소리와 20세기 가사

   1) <노처녀가>, 장애는 극복 대상인가

   2) <덴동어미화전가>, 그대는 결혼하지 마오

 

13. 맺는말  앞으로 생각할 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