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여섯째 저서 - 박사 논문에서 빠졌던 불교시들

by 不岳 2023. 8. 5.

2006년의 박사논문에 들어갔어야 할 작품들이었는데...
이제야 채워 진짜 박사가 되었구나.
그 시절부터 원했던 '향가-삼국유사-불교시'의 삼각 편대를 겨우 세웠다.
합체하면 문학사가 될 텐데, 그럴 기회가 올지 모르겠다.
----------

출판사 소개

https://weekly.knou.ac.kr/articles/view.do?artcUn=4053

 

KNOU위클리 -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

『삼국유사 속 시공과 세상』, 『향가의 유산과 고려시가의 단서』의 저자이자 고전과 현재가 무리 없이 소통할 방법을 찾고 있는 서철원 서울대 교수(국어국문학과)의 신간인 이 책은 제목 그

weekly.knou.ac.kr

제목: 한국 불교시의 기원 의상과 원효 그리고 균여
2023.7.31, 에피스테메(방송대 출판문화원)

총론: 화엄불국(華嚴佛國), 신라와 고려 시가의 이상향
보론: 신라 사상사와 흥륜사(興輪寺)10대 성인

1: 의상(義相)<법성게(法性偈)>와 화엄일승(華嚴一乘)의 시어(詩語)
        ② 원측(圓測)과 의상(義相) 그리고 초기 향가의 언어
        ③ <법성게(法性偈)>와 균여(均如)<보현십원가(普賢十願歌)>
        ④ 명효(明皛)<해인삼매론(海印三昧論)>에 실린 반시(盤詩)

2: 원효(元曉)<대승육정참회(大乘六情懺悔)>와 참회의 길
        ⑤ 원효의 장편 게송(偈頌) <대승육정참회(大乘六情懺悔)>
        ⑥ <원왕생가(願往生歌)>의 참회와 원효의 관법(觀法)
        ⑦ 참회를 소재로 한 신라 문학
        ⑧ <보현십원가(普賢十願歌)>에 나타난 참회

3: 종교시의 언어, 신앙과 자연
        ⑨ 종교적 언어관과 향가의 상호성
        ⑩ 관음신앙의 회향(廻向)<도천수관음가(禱千手觀音歌)>
        ⑪ 조선 시대 불교가사의 자연관 침굉(枕肱)과 무정설법(無情說法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