초심으로?

不岳 2016. 9. 13. 21:01

블로그를 다시 풀면서, 나름 초심으로 돌아간다는 뜻에서

 

첫 직장의 연구실 문에 걸어두었던 글을 옮겨 본다.

 

석존의 죽음에 대한 반응들이다.

 

그 시절엔 뭐든 끝이 있으니, 끝을 생각해서 더 열심히 해보자는 뜻이었는데

 

어느새 그런 마음에 때가 많이 탄 것도 같다.

 

 

 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 

 

 


모두 떠나야 한다.
세상에 생명을 가진 모든 존재는
자신의 만들어진 형체를 벗어나야 한다.
심지어 세상에서 무상(無上)의 존재인 스승,
여래, 힘을 갖춘 자, 정각자도 입멸한다.

 

Sabbeva nikkhipissanti, bhūtā loke samussayam; Yattha etādi so satthā, loke appatipuggalo; Tathāgato balappatto, sambudd ho parinibbuto"ti.

 

- Brahma Sahampati

 

 

 

만들어진 것은 무상하다.
제행은 발생하고 소멸한다.
만들어진 것들은 사라지게 된다.
제행이 사라짐이 평화이다.
Aniccā vata sańkhārā, uppādavayadhammino; Uppajjitvā nirujjhanti, tesam vūpasamo sukho"ti.

 

- Sakka(제석)

 

 

 

호흡의 움직임은 없다.
마음은 굳게 확립된 채.
욕망에서 자유롭고 평정한
성자가 시간을 다하였네.
Nāhu assāsapassāso, thitacittassa tādino; Anejo santimārabbha, yam kālamakarī muni.

 

 

 

유한자의 고통에
흔들리지 않고
그의 마음은 꺼진 불꽃처럼 해탈을 이루었네.
Asallīnena cittena, vedanam ajjhavāsayi; Pajjotasseva nibbānam, vimokkho cetaso ahū"ti.

 

- Anuruddha

 

 

 

 

 

두렵구나. 머리카락이 쭈뼛 섰다.
모든 것을 성취하신
붓다가 입멸하시니.
Tadāsi yam bhimsanakam, tadāsi lomahamsanam; Sabbākāravarūpete, sambuddhe parinibbute"ti.

 

- Ananda

 

【안양규 譯, 붓다의 입멸에 관한 연구, 민족사, 2009. 194-195면】

 

 

 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